올해 초 있었던 이해찬 전 총리와의 간담회에서 세종시의 디자인과 거기에 담긴 철학에 대한 얘기를 잠시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이해찬 총리의 설명은 세종시를 전혀 새롭게 보게 만들었습니다. 한마디로 세종시는 한국 도시건설의 새역사였습니다. 참석했던 블로거들이 왜 이런 걸 적극 홍보하지 않았느냐는 원망을 이해찬 전 총리에게 쏟아낼 정도였습니다.
며칠전 이 간담회를 다녀와서 정리해둔 포스팅이 생각났습니다. 뒤늦은 감이 있긴하지만 세종시 원안이 추진되어 다행이라며 축하하는 의미의 사진 한 장을 그중에서 골라 트위터에 올렸습니다. 그런데 예상 외로 폭발적인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간담회에서 나왔던 블로거들처럼 트위터리안들도 세종시가 이런 도시인줄을 몰랐다는 찬사를 쏟아냈습니다. 세종시 트윗은 이날 수백개의 RT를 받아 그날의 핫토픽에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내친김에 세종시에 대해 블로그에서 조금 더 소개볼까합니다.
1. 분권을 디자인하다
세종시는 세계 최초의 계획된 환상형 도시 구조라고 합니다. 이 말은 환상형 도시는 있으나 세종시처럼 계획적으로 환상형으로 건설되는 도시는 없다는 말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계획적으로 환상형 도시를 만든 데엔 세종시 건설 철학이 있습니다. 도시의 중심을 비우고 주요 시설과 기능을 주변에 건설한 디자인은 세종시의 건설 취지인 분권을 상징하고 있습니다.
비워진 도심은 상업지구로 개발하는 다른 도시들과 달리 공원 및 녹지로 조성되어 시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합니다.
세종시의 공원 녹지율은 타의 추종을 불허합니다. 분당이 27%고 동탄이 24%인데 행복도시는 그 두배인 52%입니다. 녹지율이 높기로 유명한 말레이시아 푸트라자야도 37.6%로 세계적으로도 세종시만한 녹지율은 없다고 합니다.
2. 국민의 공복을 디자인하다
"세종시는 옥상에서 보면 정원예요" 이해찬 전 총리가 간담회에서 힘주어 했던 말입니다. 세종시는 행정청사 옥상을 시민들의 정원으로 만들어 하나로 연결되게 만듭니다. 트위터에서 대박친 사진도 바로 이 행정청사 사진이었습니다. 이러한 디자인엔 공무원은 시민의 발밑에서 일한다는 철학이 담겨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세종시의 정부청사 형태는 자체로도 랜드마크 기능을 수행합니다.
사장될뻔한 세종시의 획기적 디자인이 살아나서 참 다행입니다.
출처 : 오늘의 유머(http://todayhumor.co.kr/board/total_view.php?total_table_no=1088156&origin_table=humordata&origin_no=625617&page=2&keyfield=&keyword=&sb=)
'자기개발·취미 > 역사와 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명한 노무현의 독도 명연설입니다. (펌) (0) | 2011.03.30 |
---|---|
100년 전 타이타닉호 실제 희귀영상 (0) | 2010.11.22 |
그때_그시절.jpg (0) | 2010.05.07 |
DMZ에 잠들어 있는 궁예의 나라 ‘태봉국’을 아십니까? (0) | 2010.02.05 |
서울시청에 숨겨진 충격적 비밀!! (0) | 2009.05.30 |